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충동조절장애3

발모벽(발모광)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방법 충동조절장애에 속하는 질환에는 무엇이 있는지 공부하고 있습니다.이번에는 발모벽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발모벽(Trichotillomania) 혹은 발모광이라 불리는 이 질환은 자신의 털을 뽑으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해 반복적으로 머리카락을 뽑는 질환으로, 충동조절장애에 속합니다.처음에는 드문병으로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좀 더 흔하다고 생각되며 전체 인구의 0.6~3.4% 정도까지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발모벽(Trichotillomania)  정의 환자는 머리카락을 뽑기 전에 긴장감을 느끼며 머리카락을 뽑고 나면 기쁨, 만족감, 안도감을 느낍니다. 이로 인해 모발이 현저하게 상실됩니다. 대체로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발병하지만, 그 이후에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동기에는 남녀에게 비슷하게 나타.. 2024. 12. 5.
병적 방화(상습적 방화)란? 정의, 원인, 주요증상 지난 포스팅에서 충동 및 행동 장애를 알아보았습니다.이번엔 그 세부 질환인 병적 방화(Pathological fire-setting)를 다뤄보려고 합니다.방화는 반사회적 행동(antisocial behavior)과 관련이 깊은 심각한 문제입니다.고의 또는 악의에 의한 방화(arson)는 범죄 행위로 규정되기도 합니다(Vaughn et al., 2010).   ● 병적 방화(Pathological fire-setting)란?병적 방화는 불을 지르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여 반복적으로 불을 지르는 행위로, 불이 나는 것을 보고 긴장이 완화되고 희열을 느끼는 충동 조절 장애의 일종입니다.범죄를 은폐하거나 복수하기 위해 고의적으로 방화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망상, 환각 등에 의한 방화도 병적 방화에 해당하지.. 2024. 12. 1.
행동 및 충동 장애란? 정의, 원인, 다양한 증상 행동 및 충동 장애는 여러 질환의 총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가령 분노조절장애, 발모벽, 방화벽, 병적도박 등 다양한 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행동 및 충동장애란?충동으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면 이를 해소하기 위해 행동으로 긴장을 표출하는 질환입니다.충동이란 인간이 가지는 일종의 본능적 성향입니다. 충동이 늘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충동이 너무 강하거나 자아의 억제 기능이 약화된 경우에는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원인 행동 및 충동 장애는 충동 조절 장애라고도 부릅니다.이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한다고 추정됩니다.  뇌의 변연계, 테스토스테론, 측두엽 간질, 두부 외상의 경력이 충동적 행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주의력 장애와 정신 지체도.. 2024. 11. 27.
반응형